분류 전체보기 348

이상, 이하, 초과, 미만 그리고 등과 외

'이상', '이하', '초과', '미만' 이상[以上] 명사 (기본의미) 수량, 정도, 위치 등이 일정한 기준보다 더 많거나 낫거나 앞섬 (언급된 대상을 포함함) 이하[以下] 명사 수량이나 단계 따위가 일정한 기준보다 적거나 아래인 것. 미만(未滿)과 달리 기준점도 포함한다. (언급된 대상을 포함함) 초과[超過] 명사 1.벗어나 지나다 2. 일정한 한도를 넘음 (언급된 대상을 포함하지 않음) 미만[未滿] 명사 1.정한 수효나 정도에 차지 못함 2. 널리 퍼지다 (언급된 대상을 포함하지 않음) https://ko.wikiversity.org/wiki/%EC%88%98%EC%9D%98_%EB%B2%94%EC%9C%84 수의 범위 - 위키배움터 수의 범위는 이상과 이하, 초과와 미만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은 ..

Useful Information 2023.09.20

사진, 이미지 파일 크기 조정 (화소수 변경)

업무에 사용되는 사진, 이미지 파일의 크기가 지치게 너무 커서, 컴퓨터에서 사용하기 곤란한 경우, 크기를 조정해 봅니다. 아래의 웹(인터넷 싸이트)을 소개합니다. https://www.resizepixel.com/ko (가로 사진 기준) 크기 조정 (화소수 변경) 크기 : (고정 : 가로 세로 비율) 2560 x 72dpi 경우, 폭 2560 x 300dpi 경우, 폭 720 x 결과적으로 파일 크기 약 1.11MB 정도 되도록 조정 (약 800KB~1.3MB) https://onlineconvertfree.com/kr/resize-image/jpg-resize/ (가로 사진 기준) 크기 조정 (화소수 변경) 크기 : (선택 : 종횡비 유지) 2560 x 72dpi 경우, 폭 2560 x 300dpi 경..

Useful Information 2023.09.08

단위와 표기 (3) : 표기와 표현, 부호, 괄호의 종류와 의미

단위와 표기 (3) : 표기와 표현, 부호, 괄호의 종류와 의미 부호, 괄호의 종류와 의미 ; 와 : 의 차이 (; 예를 설명하거나 추가로 부연하여 설명함, : '='의 작은 표현으로 좌우 등가적 가치) " "와 ' '의 차이 (" " 직접 인용, ' ' 고유명사 표기 혹은 ~ 취지의 간접 인용 등) 괄호의 종류와 의미 ( ) ; 동격, 설명, 생략, { [ ( ) ] }, 홑화살괄호 , 겹화살괄호 , 홋낫표 「 」, 겹낫표 『 』 ; 강조-인용-고유명사 표기 오기를 자주하는 표현 등[等], 외([外]제외), 이상[以上], 이하[以下], 초과, 미만 '등'과 '외' : ~ 등은 ~을 포함하여 칭하는 것이고, ~ 외는 ~을 제외하여 칭하는 것이다. (등 : 두 개 이상의 사물을 벌여 말할 때, 그 마지막 ..

Useful Information 2023.09.07

단위와 표기 (2) : 자주 사용하는 단위와 표기 방법

단위와 표기 (2) : 자주 사용하는 단위와 표기 방법 단위와 표기법 물리 (CGS, MKS 단위계) 길이(m, mm, km), 질량(g, mg, kg), 시간(s, h) 광년(光年, light-year) ly, 천문단위(astronomical unit) AU, 1Å(옹스트롬)=1.0x10^(–10)m=0.1nm, 질량과 무게(힘)의 차이 (서로 다른 단위) 능률(Watt, 마력 hp(horsepower), ps(pferdestärke))과 에너지(기호 E, 단위 J(joule)) 1W=1J/s, 1hp=745.7W, 1ps=735.5W, / 1J=1Nm=1kg(m^2/s^2) 부피 (cc, l, ml) 톤과 톤수는 다른 단위 ; 톤(ton)은 질량의 단위, (선적 등에서) 톤수는 부피의 단위로 사용 전..

Useful Information 2023.09.07

단위와 표기 (1) : 정량화를 통한 객관화, 구체화

단위(unit) :사물의 길이, 넓이, 무게 등을 수치로 나타낼 때, 기본이 되는 기준 표기(notation) :1. 겉으로 표시하여 기록함2. 글자 또는 음성 기호로 말을 표시하는 일 표현(representation) : 들어가는 말 정량화(수량화)를 통한 객관화, 구체화우리가 의사소통을 하거나, 정보나 자료를 공유하여, 어떤 사실을 인지하고 인식하며, 더 나아가 어떤 사실이나 진실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그 표현에 있어 객관적 수치나 수량 등 통해 표현을 정량화(定量化, 수량화, quantification)하여 객관화, 구체화하기도 한다. 이 때 단위나 표현, 표기의 방법으로 서로의 의사소통의 규칙이 된다.단위 없는 수량은 사실의 오인으로 이어져 (잘못된 정보의 전달)만약 서로 다른 도량형(度量衡)을 사..

Useful Information 2023.09.07